정절공(휘克廉) 사실록
정절공(휘克廉) 사실록
조선개국공신 첫 정승 지내
조선개국공신으로 초대 영의정을 지낸 정절공(貞節公 ; 휘 裵克廉)은 고려 충숙왕~조선 태조때의 명신이다.
성산 사람으로 자는 양가(量可), 시호는 정절(貞節), 호는 필암(筆菴) 또는 화금당(畵錦堂), 봉렬대부위위시소윤(奉列大夫衛尉寺少尹 ; 휘 賢輔)의 차남이다.
공은 타고난 성품이 뛰어났고,지략이 출중하였으며 또 경제에 밝았다.
1376년(고려 우왕 2년) 청주도 원수가 되었는데 진주에 침략한 애구를 반성현(班城縣)에서 크게 격파하였다. 일찍이 관아 북쪽에 손수 잣나무를 심었는데 고을 사람들이 주나라 소공(召公)의 감당나무처럼 사랑하여 시중백(侍中栢)이라 불렀다.
1378년에는 경상도원수로서 육지도에서 왜구를 대파하고, 경상도도순문사로서 하동과 사천에서크게 이겼으며, 이듬해에는 진주 반성현의 대혈전, 울주전투와 청도전투 · 사천전투 등에서 크게 활략하였고 1380년에는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올랐다.
1388년의 요동 출병 때에는 우군의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우군도통수(右軍都統帥)인 이성계(李成桂)의 휘하에 참여하여 위화도 회군을 도와주고, 1389년(고려 창왕 1년)7월에는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의 요직을 맡았다. 1390년 (고려 공양왕 2년)에는 평리(評理)로서 회군 공신에 추록되고 양광도찰리사(陽廣道察理使)가 되어 한양 궁궐의 조성을 감수하였다.
3군도총제부(三軍道摠制府)의 중군총제사(中軍摠制使)가 되어 도총제사(都摠制使) 이성계가 병권을 장악하는 데에 일익을 담당 하였다. 같은 해에 판삼사사(판(判三司事)가 되어 개경의 내성을 축성하는 총책을 맡았다.
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으로 조준, 정도전과 함께 공양왕을 폐하고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의 건국과정에 중요한 소임을 담당하고,개국공신1등이 된 바, 공이 수훈된 것은 문무를 겸하였으나, 비기(秘記)의 비의굱자지(非議君子智)로서 일컬어졌으며 온후한 덕성을 지녀 중망을 한 몸에 받아 왕권 양위시에 정절공이 중심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대광보국 숭록대부 겸 경연사 의정부 영의정(大匡輔國崇祿大夫兼經筵事議政府領議政)에 올랐다. 성산백(星山伯)에 봉해졌으며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이 되었다.
1392년 11월에 졸(卒)하니 조정에서는 크게 애도하여 삼일을 철조(掇朝 : 집무하지 않는 것)하고 초상에 쓰는 여러 가지 물건을 보내어 청안현(淸安顯) 두타산(頭陀山) 대아봉(大雅峯)에 예장(禮葬)하였다. 이어 정절공(貞節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 정절공 기일 10월 22일. 후손 100명 참배
정절사 제향 근엄하게 봉행
경주배씨 정절공파종회(종회장 在一)는 10월 22일(음력 9월 8일) 정오 증평 및 전국 후손 100여명이 참배한 가운데 삼조원훈의 한 분이신 조선개국 원훈 정절공(휘 克廉)의 기일을 맞아 임진년 추계 제향을 경북 성주군 성주읍 대황2리 정절사 사당에서 봉행하였다. 정절공 추계 제향은 珣熺 종친 집례로, 초헌관을 종손인 周鎬, 아헌관을 喆熺, 종헌관을 相佑 종친이 맡아 전통제례법에 따라 엄숙하게 올리면서 정절공의 큰 위덕을 경모하였다.
2015년 11월 1일 (일) 김포 유당공 파종회에서는
충북 증평에 있는 극렴 정절공 묘소에 참배
경주배씨 서울종친회(회장 선준), 인천종친회(회장 인석), 김포종중회(회장 영민) 종친 45명은 무열공 을미년 대제 봉행에 참석한 뒤 귀경길에 충북 증평 송오리 정절공(휘 극렴) 묘소를 참배하고 대종회 고문인 상현 박사로부터 정절공 사실록에 대한 역사적 해설을 들으며 경모하였다.
상현 박사는 “정절공께서는 고려말 왜구를 척결한 원수(元帥)요, 조선개국 1등 원훈으로 초대 영의정을 지내셨고 성산백에 봉작되신 분으로, 우리 배문의 위상을 세워준 어른이시다.” 라고 설명하면서 정절공의 공훈을 설명하였다.
종친들은 조선 초기의 묘제(墓制)인 장방형의 산소 봉분과 상석을 비롯하여 문인석, 망주석, 신도비, 충청북도 기념물 제98호 비석, ‘증평 배극렴 묘소’ 표석 등을 둘러보고, 내려오는 길에 묘소 아래의 정절공 사당인 경절재(景節齋)를 둘러보며 정절공의 위덕을 다시한번 가슴에 되새겼다.
묘역 주변은 증평군에서 군비 1억원으로 3개년 보수정비 계획을 마련, 첫해인 올해 묘역으로 오르는 계단을 만들어 새 모습을 보여 주었다.
대종회 고문 상현 박사, 극렴공 역사적 사실록 요약 해설